[데일리즈 강정욱 기자]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와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18일 청와대 회동에서 핵심소재 수출규제 해법에 대해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방안을 놓고 문재인 대통령과 팽팽한 토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손 대표가 마련한 해법은 한국 정부가 먼저 기금을 만들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하고, 이후 일본 측에 구상권을 청구하는 방안을 이번 사태의 해법으로 제안했다고 손대표측 장진영 비서실장이 전했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도 손 대표의 뜻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 비서실장은 "손 대표의 제안에 대해 대통령과 황 대표 세 분이 열띤 토론을 벌이며 많은 시간을 썼다. 손 대표가 강제징용 판결이 (이번 사태의) 근본원인인 만큼 그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 정부가 이 부분에 대해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며 "기금 등을 통해 먼저 배상을 하고 이후에 구상권을 청구하는 방식도 있지 않느냐는 제안을 했고 황 대표도 동의했다"고 밝혔다.
장 비서실장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피해자들이 동의가 되겠나. 위안부 상황을 뵀을 때 어렵더라’며 사실상 거부했다고 전했다.
이에 황 대표는 같은 시각 연 기자간담회에서 ”1+1에 더한 알파가 뭔지에 대해(문대표와 손대표 사이에)개념 차이가 있었다“며 ”알파는 다양하게 들어갈 수 있다. 1+1이 어려우면 다른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와 같이 잘못된 합의를 하면 안 되지 않느냐. 피해자들의 수용 여부와 국민적 동의가 전제되지 않은 외교적 협상의 결과는 하지 않느니만 못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한편,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일본의 중재위원회 개최 요청에 한국 정부에서 응하지 않음에 따라 일본 정부는 남관표 주일 한국 대사를 조초하고 추가 담화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