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즈 전은솔 기자]
‘젠더 이슈’가 청와대 국민청원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큰 공감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 지지를 받아 진행된 답변 10개 중 4개를 차지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5일 이 같은 내용의 청와대 국민청원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은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가 개설된 2017년 8월부터 2019년 5월31일까지 올라온 청원 중 1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은 글을 대상으로 했다.
청와대 국민청원은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청와대에서 답변을 한다. 20만명 이상의 답변을 얻어 청와대 답변이 이뤄진 98개 청원 중 39.8%인 39개가 젠더 이슈였다.
범위를 넗혀 1만명 이상 동의를 받은 청원 882개중 224개(25.4%)도 젠더 이슈다.
연구원은 “젠더 이슈가 지난 2년간 한국 사회의 핵심 현안이자 국민적 관심사였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젠더 이슈 국민청원을 세부주제별로 보면 여성폭력·안전 이슈가 63%(141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돌봄·일생활균형 12% ▲여성건강·성·재생산 9% ▲평등의식·문화 5%등의 순이었다.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성매매, 성폭행, 성폭력, 성범죄, 몰카(몰래카메라), 무고죄 등 여성폭력·안전 분야에서의 단어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젠더 이슈 국민청원을 목적별로 살펴보면 법 제·개정이나 정책제안이 4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형사사건의 올바른 해결 39%, 공공부문 내 부당행위 비판 8%, 민간부분 내 부당행위 고발 8% 순이었다.
젠더 이슈 청원을 141개 여성폭력·안전 이슈로 좁혀보면 형사사건의 올바른 해결 목적이 54.6%로 비중이 가장 컸다.
여성 폭력 범죄를 다루는 수사·사법기관에 대한 국민 불신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연구원측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