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前사령관 "오만 해상 유조선 공격 배후에 테러조직..."
이란 前사령관 "오만 해상 유조선 공격 배후에 테러조직..."
  • 신겨울 기자
  • 승인 2019.06.14 1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일리즈 신겨울 기자]

이란의 ISNA 통신이 제공한 사진으로, 13일 이란 앞 호르무즈 해협에서 오만만으로 내려가는 바다에서 유조선 한 척에 불이 붙어 검은 연기가 솟아오르고 있다. 이날 이 해역에서 두 척의 유조선이 폭발음을 동반한 공격을 받아 선원들이 배를 버렸다. 두 배의 선원 44명 전원은 이란 구조선에 옮겨 탔다. ⓒ뉴시스
이란의 ISNA 통신이 제공한 사진으로, 13일 이란 앞 호르무즈 해협에서 오만만으로 내려가는 바다에서 유조선 한 척에 불이 붙어 검은 연기가 솟아오르고 있다. 이날 이 해역에서 두 척의 유조선이 폭발음을 동반한 공격을 받아 선원들이 배를 버렸다. 두 배의 선원 44명 전원은 이란 구조선에 옮겨 탔다. ⓒ뉴시스

지난 13(현지시간) 오만 해상에서 노르웨이와 일본 해운회사에서 운영하는 선박 등 유조선 2척이 피격된 것과 관련, 이란 정예군 혁명수비대의 전 사령관은 "테러조직이 관여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14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전 이란혁명수비대 사령관(60)13일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산케이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피격 사건과 관련, "테러조직이 관여했다""아베 신조 총리의 이란 방문을 반()이란 선전에 이용하려는 목적"이라고 주장했다.

호세인 전 사령관은 구체적으로 이란 남동부에 근거지를 둔 반정부 무장조직 이 미국과 이란 간 군사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기 위해 이번 유조선 공격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조직은 특정 국가의 지원을 받고 있어, 군사 기술도 높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이란과 적대관계에 있는 '이슬람국가(IS)' 및 국제 테러조직 알카에다 연계 조직 등이 관여했을 가능성도 높고 해적들도 활약하고 있는 지역이라고 말했다.

이란 정부는 사건 발생 당시 이란 구조 당국이 유조선 승무원 44명을 구조한 것 등을 이유로 정부의 연류가능성은 "불가능하다"라고 부인했다. "사고 해역은 이란 군함이 상시 감시하고 있는 지역"이라며 "이란 정부는 이번 사건의 배후조직을 특정할 수 도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한편, 미국 정부는 이번 유조선 공격 배후로 이란 정부를 지목하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 13일 브리피엥서 유조선 공격에 대해 "사용된 무기, 정교함 등을 봤을 때 이란이 책임이 있다고 본다"며 공격 배후로 이란 정부를 지목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데일리즈로그(주)
  • 발행소 : 03425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21길 8, 해원빌딩 301호
  • 대표전화 : 02-385-3118
  • 팩스 : 02-385-3119
  • ISSN 2636 - 0977
  • 제호 : 데일리즈
  • 등록번호 : 서울 아 02435
  • 등록일 : 2013-01-21
  • 발행일 : 2013-01-21
  • 발행인 : 신중섭
  • 편집인 : 신중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정민
  • 편집국장 : 정광식
  • 데일리즈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3 데일리즈.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ailiesnews@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