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즈 신겨울 기자]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보다 3.7포인트 하락한 97.9포인트로 나타났다. 지난 4월 기준선(100)을 웃돌았다가 두 달 만에 다시 밑으로 내려앉은 것이다. 지난해 11월(95.7) 이후 6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되었고 낙폭은 지난해 7월(-4.6포인트)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CCSI는 가계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한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 지수를 표준화한 것이다. 기준치 100을 밑돈 것은 과거(2003년 1월~지난해 12월) 평균치보다 경기를 낙관적으로 보는 소비자보다 비관적으로 보는 소비자보다 많다는 얘기다.
가계의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도 악화됐다. 현재생활형편 지수는 전월보다 2포인트 내려간 91, 생활형편전망 지수는 3포인트 떨어진 92로 집계됐다. 가계수입전망 지수는 97로 2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지출전망 지수도 1포인트 하락한 109를 나타냈다.
한국은행 관게자는 "미·중 무역분쟁 심화, 경기지표 부진, 주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경기와 관련된 지수가 하락한 가운데 물가 상승 우려 등로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도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잇따라 경기부진과 고용지표 악화 등의 영향으로 취업기회전망 CSI도 80으로 3포인트 내려갔다. 지난해 12월 이후 첫 하락 전환이다.
하지만 지난달에 이어 두달 연속 상승한 주택가격전망지수는 93으로 6포인트 뛰었다. 서울 강남권 주요 아파트 단지의 실거래 가격이 오르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 회복 전망이 확산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물가수준전망 지수도 전월 142에서 이달 145로 3포인트 올라갔다. 한은은 "최근 환율 상승과 휘발유, 경유 등 석유류제품 가격이 오른 영향"이라고 말했다.
결국 소비자심리지수가 6개월 만에 하락 전환하며 '비관론'이 다시 우세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경기지표가 부진한 가운데 미·중 무역분쟁 심화 등으로 경기에 대한 인식이 어두워진 영향이 컸다. 집값과 물가는 현재와 비교해 1년 뒤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더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