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즈 신겨울 기자]

한미 정상이 대북 식량 지원 카드를 꺼낸 이유는 '하노이 노딜' 이후 두 달째 멈춰선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보인다.
장사정포와 전술유도무기 를 동원한 북한의 저강도 무력시위 속에 대화 촉구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보고 대화 테이블 복귀 명분을 식량 지원 방안에서 찾은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지난 7일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미 정상통화에서 최근 유엔세계식량계획(WFP)·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북한 식량 실태 보고서에는 3월부터 4월까지 방북 조사를 통해 지난해 북한의 곡물 생산량은 490만t으로 북한 인구의 40%에 해당하는 1000만여명 가량이 식량 부족 상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59만t을 수입해야 한다는 내용을 교환 한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시의적절하다"며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식량 지원 문제는 무 자르듯 누가 먼저 이야기했다기보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지원 방안에 대해 최종 결정하는 수순이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단독 정상회담 모두 발언 직후 이어진 질의응답 때 '남북 경제협력 사업을 부분적으로 허용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우리는 몇몇의 인도적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나는 솔직히 한국이 북한에 식량을 지원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이 대북 식량 지원 추진 의사를 밝힌 이유는 당초 자신의 구상이었던 금강산 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 방안이 대북 제재를 유지하려는 미국에 의해 막히자, 추가 설득이 필요없는 대북 식량 지원을 '플랜B'로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북미 대화의 교착상태가 장기화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식량 지원을 계기로 중재 역할을 시도한 것이라는 관측이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도 남북 간 직접 지원이 아닌 국제기구를 통한 간접 지원 방식을 다시 추진하는 방안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아직 식량 지원의 규모·형식 등의 구체적인 이야기까지는 오가지 않았다"면서 "이제 막 논의 시작 단계로 검토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