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즈 신상인 기자]
사회가 '복잡다단'해질수록 이슈와 이슈는 충돌한다. 같은 언론의 지평에서도 당연히 갑론을박할 수밖에 없다. 그렇게 부딪치는 이슈와 사실들을 [팩트 對 팩트]에서 다시 한번 점검한다. <편집자주>
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가 이례적으로 문재인 대통령 얼굴이 들어간 관련 ‘기념우표’를 발행하고 이를 판매하기 위한 ‘발행 안내 우편’까지 발송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우편에 사실상 세금을 사용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정권 마케팅을 위한 혈세 낭비가 지나치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7일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은 “우정사업본부가 이례적으로 대통령 관련 ‘기념우표’를 발행하고, 이를 판매하기 위해 ‘발행 안내 우편’까지 발송했다”고 밝혔다.
신 의원이 우본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통령 취임 기념우표를 제외하고, 지난 10년간 대통령 얼굴이 들어간 대통령 관련 우표는 이번 ‘2018 남북정상회담 기념우표’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우본이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당시에도 ‘남북정상회담 기념우표’를 발행했지만, 이번 ‘2018 남북정상회담 기념우표’처럼 대통령의 얼굴이 들어간 경우는 처음”이라며 “이 같은 대통령 얼굴이 들어간 우표는 과거 독재정권시절에나 있던 일”이라고 지적했다.

우본이 발행한 대통령 관련 기념우표 통계를 살펴보면, 취임기념을 제외한 대통령 얼굴이 들어간 우표는 모두 61건이다.
이승만(1건), 박정희(11건), 최규하(2건), 전두환(45건) 이후 대한민국 첫 노벨상 수상 기념으로 김대중 대통령 우표를 발행한 1건을 제외하고는, 문재인 대통령이 처음으로 우표에 등장하게 된 것.
특히 우본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2018남북정상회담 기념우표(우표첩)’ 판매 이전, 우본은 취미우표 고객 2만9914명에게 이례적으로 기념우표 발행 안내 우편을 발송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신 의원은 “우본의 기념우표첩 발행 안내의 별도의 우편 발송 사례는 단 한차례도 없었다”며 “우본은 ‘우편사무’로 발송했기 때문에 우편비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했으나, 이번 기념우표 발행 안내를 위한 우편에 사실상 세금을 사용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본은 지난 8월, 일부 우정청과 소속 관서에서 예산을 활용한 우표첩 구매와 직원 강매 등 부적절 사례에 판매독려자제 공문을 전국 지방 우정청에 발송했다”고 전했다.
또한 “우체국 예산을 사용하거나 우체국 명의로 구매한 2018남북정상회담 기념우표 건(총 8035부)은 취소 조치됐지만, 직원 강매 등 개별 직원에게 판매된 부수는 사실상 묵인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신 의원은 “향후 국정감사를 통해 우정사업본부가 정권 마케팅을 위해 이례적으로 2018남북정상회담기념우표를 제작하고, 판매에 혈안이었던 것은 아닌지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우본 측은 “역사적인 사건에 따라 발행한 우표이고, 필요에 따라 디자인 한것이지 대통령 얼굴을 넣은 것 등을 보는 것은 해석의 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념우표첩’예약 판매 제도는 처음 도입함에 따라 통신판매 고객들의 이용 혼란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안내문을 발송했고, 우편사업과 관련한 안내문 등을 ‘업무용 우편‘으로 발송할 수 있다”며 “확인 결과, 직접적 강매 사례는 확인된 바 없다”고 부연했다.